728x90
반응형
SMALL

이 TOC 이론이 발표되기 전에는 어떤 생산시스템의 각각의 기능 (기계,인력등)을 최적으로 향상시키면
그 각각의 향상된 기능의 합이 전체 생산시스템의 기능의 향상이 된다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반면 TOC (Theory of Constratins) 제약이론은 이와는 다르게 각 생산공정 중에서 가장 제약이 되는, 예를
들자면 가장 느린 공정에 의해서 전체 생산속도가 좌우되므로 이 느린 공정을 개선 시키면 전체 속도가
빨라진다는 개념이다.. 즉 각 개별 공정을 각각 개선시키는게 아니라 가장 Critical 한 공정을 찾아서
고것만 개선을 해도 전체 성능이 향상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하면 아무래도 전체를 각각 개선시키는 비용보다는 적게 들기 때문에 비용대비 효과가 좋다고
할수있다.

이 이론과 비슷한 것이 CP (Critical Path) 로 전체 소요시간은 Critical path의 소요시간보다 적을수는 
없다. 즉 전체 소요시간을 줄일려면 딴 경로를 줄여야 소용없고 이 CP의 시간을 줄여야 전체시간이
줄어들수 있다는 것이다.  제약이론도 이 제약공정의 앞뒤 공정을 개선해봤자 이 제약공정때문에
효과가 없기 때문에 이 제약공정을 개선해야 그 효과를 볼수 있다는 뜻이다.

이 제약이론은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엘리 골드렛 박사가 1984년 발표했다. 이 이론으로인해
 JIT (Just In Time)  등 경영혁신기법으로 무장한 일본경제에 밀리고 있던 미국 경제가 살아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정도로 높이 평가가 되었다..  그래서 이 이론이 다른 나라에도 도입이 되어서 급성장할
까봐 17년동안 이책의 번역을 금지했다는 썰이 있기도 한다.

<출처 : 네이버카페 "한국청년물류포럼" >

제약이론에서 이익을 극대화 하기 위한 조건들로는 다음과 같다.

Throughput (처리량) 을 증대시킬 것
Inventory (재고량) 을 절감시킬 것
Operating Expense(운영경비)를 절감시킬 것

제약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 설명
전체 최적화 개별부분의 최적화가 아닌 전체관점의 최적화
제약사항 고려 기업의 제약자원을 고려하여 지속적 개선을 촉구
집중 개선 병목(bottleneck), 즉 가장 약한 부분이 전체를 좌우


제약이론은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해서 DBR(Drum-Buffer-Rope)이라는 핵심 개념을 설명한다.

Drum 전체 시스템의 속도는 결국 병목공정의 속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모든 공정의 속도는 병목공정의 속도에 맞춰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Drum 이란 두드리는 드럼의 박자에 맞춰 나머지 사람들이 행진
하듯이 병목공정의 드럼의 박자에 맞춰 다른 공정들이 속도를 맞춰야 한
다는 뜻이다.
Buffer 모든 공정이 Drum에 맟춰서 착착 진행을 하고 있는데 병목공정 이후 공정
중에서 문제가 생겨서 병목공정이 멈춘다거나 지연된다고 하면 전체
공정이 느려지기 때문에 병목공정과 뒷 공정 사이에 Buffer 를 두어 Drum
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Rope Buffer의 경우와 반대로 병목공정 다음의 공정에서 너무 빨리 진행이 되어
버리면 병목공정과 뒷공정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병목공정과 뒷공정을 Rope 즉 줄로 묶어서 간격이 벌어지
지 않도록 하는 개념이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