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회 DAP (Data Architecture Professional) 시험을 2018년 12월 8일 날 건대에서 치렀습니다.
엄청 추운데 건대입구역 전철에서 내려서 호수를 끼고 반대편까지 가야 시험장이 나왔는데..날씨가 너무 추워서.. 고생..
DAP 응시행은 약 3반에 나누어서 보았던 거 같아.. 한 반에 약 30명 정도 들어가니깐 총응시생은 90여 명 인 듯..
불합격한 40회 시험 때에는 정말 이상했습니다.. 분명히 표준화 정의서만 답안지에 있어서 그것만 썼는데.. 엔티티
정의서도 써야 한다고 해서.. 정말 이상했습니다.. 내 눈이 이상했던 건가.. 하는 생각이.. 분명히 시험지에나 답안지에는
엔티티정의서라는 문구를 못 본 거 같은데..
너무 이상해서 한국데이터진흥원에 전화까지 해서 점수를 물어봤습니다... 상세하게 배점을 설명해주시더라고요..
하여튼 실기점수가 16점인가 나와서 불합격.. 16점이면 그냥 기본 점수인 듯.. ㅠㅠ
다행히 42회 때에는 합격을 했습니다.. 그래도 실기점수는 생각보다 덜 나왔음.. (나름대로 잘 그렸다고 생각했는데..)
일단 이 시험도 다른 시험과 마찬가지로 실기보다는 필기시험을 최대한 잘 봐야 합니다.
공부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 필기는 아래 2개 교재 위주로 했다.
1.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 가이드
2. 자격검정 실전문제집
1번 가이드 책을 저는 1회 정독 후 2회부터 엑셀에 정리를 했습니다.
제 성격상 저는 항상 정리를 따로 한 후 그걸 반복해서 보는 스타일이라서 (모든 시험을 그렇게 공부함)
2번 문제집도 1회 풀면서 틀린 문제나 중요한 문제는 체크했다가 나중에는 그 체크한 문제만 다시 풀었습니다.
추천 참고도서로 많이 나오는 '오라클 성능 고도화 원리와 이해 2권'을 도서관에서 빌려서 1,2장만 봤는데
내용이 어려워서.. 인덱스 관련부분만 좀 정리를 해서 봤음. (거의 안 본 거나 다름없음)
결국 위 1,2번 교재만 보고 필기 대응을 한 거나 다름없습니다.
실기는 아래와 같이 준비했습니다.
1. 빨간펜(www.dator.co.kr)이라고 불리는 사이트에서 올려놓은 실기문제를 2번씩 풀었습니다.
물론 진짜 실기문제보다는 내용이 짧지만 그래도 핵심적인 요소들을 인지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즉 배타적 관계(아크) , 이력관리, 순환 관계 등 시험에 꼭 나오는 관계에 대한 연습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2. 그리고 2018년도 DA공모전에도 실기연습 삼아 출품했습니다.
초반에도 언급했지만 실기보다는 필기가 더 중요합니다. 필기에서 최소 평균 80 이상은 넘어줘야 합니다.
그러려면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 가이드' 교재의 내용을 최대한 많이 암기하는 게 중요합니다.
'자격증 공부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시스템감리사 합격후기 2탄.. (9) | 2019.08.30 |
---|---|
정보시스템감리사 합격 후기 1탄.. (3) | 2019.08.29 |
정보보안기사 합격 후기.. (22) | 2019.08.28 |
SW보안약점진단원 합격 후기... (6) | 2019.08.26 |
설레이는 맘으로 첫발을 내딨습니다. (1) | 2019.08.26 |